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kt 소액결제 피해 지역 확산 - 서울 서초 동작
    kt 소액결제 피해 지역 확산 - 서울 서초 동작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경기 수도권을 넘어서 서울 서초구와 동작구까지 훨씬 넓게 퍼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마치 바이러스처럼 피해가 점점 더 넓게 퍼지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듯합니다. 조직적 해킹 수법과 확산되는 피해 규모, 그리고 앞으로의 대응 과제까지, 최근 동향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합니다.

    피해 지역, 서울·일산·과천까지 확산

    초기에는 경기 광명, 부천, 서울 금천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된 줄 알았던 KT 소액결제 피해는 실제로 서울 동작구, 서초구, 영등포구, 고양시 일산동구, 그리고 과천까지 확산된 사실이 국회 자료로 드러났습니다.

    • 지난달 5~8일 서울 동작·관악·영등포구에서 15명이 26번이나 결제가 강제 발생해 약 962만 원 피해
    • 서초구 - 8일과 11일 이틀간, 3명이 6번 결제 227만 원 피해
    • 일산동구 - 20일  3명이 6번 결제 170만 원 피해

    짧은 시간 내 급격하게 확산되었다고 집계가 되었으며, KT가 피해 지역을 일부 추정 위치로 발표했을 뿐 실제 전국적으로 더 확장될 가능성이 있어, 전수조사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범죄 조직의 정교한 수법 

    경찰은 중국 동포 2명을 검거하며, 이들이 차량에 초소형 불법 기지국을 설치하고 이동하며 KT 이용자의 휴대폰 정보를 탈취하는 조직적 해킹을 벌였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중국의 '윗선'으로부터 지시를 받았다고도 진술을 하였습니다.

    해당 기지국을 통해 특정 장소에서 다수의 휴대폰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모바일 상품권 구매나 교통카드 충전 등 현금화가 가능한 결제를 대량으로 실행한 방식이 드러났습니다. 이번 사건은, 해외 조직의 지휘 아래 계획적으로 해킹/금전 탈취가 이루어진 구조임을 보여줍니다.

     

     

    전수조사와 수사 확대 필요성

    피해 지역과 피해자 수, 결제 건수 모두 공개 자료보다 실제가 더 많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 KT 고객 전체 소액결제 이용자에 대한 전수조사
    • 피해 규모 재집계
    • 다양한 인증방식(ARS 외 PASS, 카카오 인증 등)에 대한 조사까지 확대가 시급

    경찰 역시 현재 검거된 범인 외 '윗선' 공범 추적, 과거 범행 수법 재조사, 추가 피해자 확인 등 수사 확대를 이어가고 있으며, 국회도 KT 대표를 청문회 증인으로 불러 엄격한 조사에 나섰습니다.

    보안 강화와 피해 방지, 사회적 과제

    이번 KT 소액결제 무단 결제 사고는 단지 일부 금전 피해를 넘어서, 우리 통신망과 개인정보 보안의 위협을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경고 사례입니다. KT와 정부, 경찰은 피해 범위를 완전히 파악·공개하고, 체계적 예방책과 실시간 대응 시스템을 강화해야 하며, 개인 역시 소액결제 내역 점검 및 통신사 별 보안설정, 비정상 로그인·결제 시 즉시 신고와 조치를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